재활클리닉
작업치료
- 작성일
- 2023.01.19
- 조회수
- 2726
작업치료실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저하된 사람을 최대한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치료하는 곳입니다.작업치료란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발달과정에서 어떠한 이유로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의미 있는 치료적 활동(작업)을 통해 최대한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능동적으로 사회생활에 참여함으로써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치료, 교육하는 보건의료의 한 전문 분야입니다.(대한작업치료사협회,2002)
◎ 치료대상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관절염, 치매, 성인 뇌성마비, 파킨슨병, 루게릭병, 근육병 등의 질환으로 일상생활, 여가, 직업 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가정으로의 복귀 또는 질환 이후의 새로운 삶의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 평가방법
작업치료실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환자에 관한 기능적,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전반적인 신체기능, 인지, 지각, 감각 상태 및 일상생활의 독립적인 수준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 치료방법
실제적인 일상생활, 여가, 직업 활동의 획득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여, 일상생활동작치료, 여가활동치료, 그룹치료, 자가 운동을 위한 교육 및 상담, 근 골격계 치료, 감각 및 신경계치료, 연하치료, 지각 및 인지치료, 보조기 제작 등을 맞춤형 치료로 진행합니다.
- 신체적 능력
해부학적, 신경학적, 근육학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기초의학지식과 적절한 치료도구와 목적있는 활동을 사용하여 관절의 움직임, 근력, 균형 능력, 감각기능 등의 향상과 운동조절 능력의 향상을 위한 훈련들을 시행합니다.
- 인지 지각적 능력
뇌의 기능, 구조 그리고 발달과정에 기초한 재활치료 방법을 통하여 지각, 인지영역에 손상을 입은 환자를 대상으로 집중력, 기억력, 판단력, 계산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향상을 도모하며, 또한 손상된 영역에 대해 보완할 수 있는 기술 훈련들을 시행합니다.
- 연하 치료
임상적 관찰을 통한 정확한 평가를 토대로 각 단계별 연하기능 증진 치료인 구강 촉진법, 구강 근육 운동, 호흡운동, 삼킴 반사 유도법, 삼킴운동에 사용되는 근육의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전기 자극 치료를 시행하여 정상적인 식사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직업 능력
직업에 필요한 기능 평가 및 보완 상담, 필요한 다른 분야에 관한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 일상생활 능력
일상생활 훈련은 가장 기본적인 식사하기, 옷 입고 벗기, 개인위생, 이동훈련 등이 있으며, 각 영역들을 평가하여,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훈련계획을 수립하고 훈련시킵니다. 또한 활동에 필요한 보조도구와 보조기를 직접 제작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하실 수 있도록 하는 훈련들을 시행합니다.
- 환자/보호자 상담 및 교육
가족 및 환자에게 개별적 환자의 치료와 보조에 대한 수행 방법 등을 교육하여 드리고 있으며, 집안 구조 및 시설물들에 대한 개조 등과 같이 퇴원과 관련한 계획을 위하여 상담을 제공합니다.
- 휠체어를 사용하시는 환자분들에게는 적절한 휠체어를 맞추시는 것에서부터 휠체어를 관리하고 침대, 화장실, 자동차 등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독립적으로 휠체어를 밀도록 하는 훈련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척수손상 환자분들을 대상으로 기능수준에 따라 생활에 꼭 필요한 관절운동을 체조의 형태로 구성하여 다양한 그룹 활동과 함께 교육하고 있습니다.